티스토리 뷰

 불현듯 드니 빌 뇌브 감독의 영화 '컨택트(Arrival, 2016)'가 떠올랐다. 어느 날 갑자기 나타나 전 세계 도심 상공에서 묵묵부답 공중에 떠 있는 거대한 괴 비행체 '셸(Shell)' 말이다. 단지 차이가 있다면 영화에서 세로로 긴 비행체를 가로로 눕혀 놓았고 곤충의 다리같이 뻗어 나온 4개의 기둥이 달려 있다는 점뿐이었다. 상파울루 미술관(MASP, Museu de Arte de São Paulo)의 첫인상은 이처럼 지구인의 것이라고 하기엔 너무나 생경하고 이상했다.

1980년에 촬영된 MASP, 내가 처음 본 사진도 이것과 비슷했다. (사진 ⓒLuiz Ossaka)

 이탈리아 태생의 브라질 건축가, 리나 보 바르디(Lina Bo Bardi, 1914-1992)의 설계로 지난 1968년 완공된 이 미술관은 명실상부한 상파울루의 상징이다. 처음 이 건물에 대해 알게 된 건 정말이지 우연한 기회였다. 출장이 결정되기 두달여 전에 들었던 건축가 조민석 씨의 강연 중 발표 슬라이드 한 장에 흑백의 상파울루 미술관 사진이 있었다. 건축가는 본인의 대표작 중 하나인 '2010 상하이 엑스포 한국관'의 필로티 공간이 MASP와 닮았다는 언급을 하며, 본인도 아주 최근에서야 비로소 이곳에 가보았다는 너스레를 떠시고는 빠르게 슬라이드를 넘겼었다.

'넌 뭔데 거기 (떠) 있는겨?', 영화 컨택트(Arrival) 포스터에 그려진 괴 비행체

 상파울루 출장이 결정되었던 바로 그 날, 잊고 있던 그때의 그 사진이 떠올랐다. 당장 출장지에 대한 정보가 전무한 상황에서 '그 이상하게 생긴 미술관'은 자연스럽게 내가 아는 상파울루의 가장 중요하고도 유일한 목적지가 되어버렸다. 그런데 이상하게 설레었다. 나와는 정말이지 아무런 상관없을 줄 알았던 한 건축물과 갑자기 깊은 인연이라도 맺어지는 느낌이 들었달까. 게다가 당장 몇 주 후면 직접 가볼 수 조차 있다니! 영화 '컨택트'에서 루이스와 이안이 두려움과 호기심을 안고 처음 '셸'에 방문할때의 심정이 꼭 이렇지 않았을까.

마침내 마주한 MASP, 반갑다

혹자는 MASP를 상파울루와 브라질은 물론, 라틴아메리카 전체를 대표하는 미술관이라고도 했다. 그만큼 오랜 역사와 상징성을 가지는 미술관이 바로 MASP였다. 더욱 멋진 건 이렇게 중요하고 대표적인 미술관이 상파울루의 중심대로 파울리스타(Av. Paulista) 한 복판에 위치한다는 점이었다. 우리나라로 치면 국립 현대미술관이 강남역과 신논현역 사이 큰 길가에 있는 셈이니 그야말로 대단한 위치 선정이 아닐 수 없다. 나의 출장지였던 한국문화원 역시 파울리스타 대로변에 있어 걸어서 10분 정도면 도착할 만큼 가까운 거리였다. 상파울루에서의 첫날 아침, 나는 계획했던 대로 곧장 이곳으로 향했다. 

길가에 세워진 표지판이 이곳이 MASP 임을 알려준다.

그리 높지 않은 건물임에도 그 존재감만큼은 확실하다.

떠있는 상부 건물의 아랫면은 송판 무늬를 댄 노출콘크리트, 광장은 사고석 포장으로 되어있다.

제법 한산했던 필로티 아래의 풍경, 히피 느낌 물씬 풍기는 젊은이들 무리들 뿐이었다.

 육중한 콘크리트 덩어리를 받치는 네 개의 빨간색 다리(기둥)는 과연 멀리서부터 그 존재감을 과시하고 있었다. 점점 빨라지는 심장박동을 애써 누르며 가까이 다가가자 제일 먼저 광활한 필로티 공간이 눈에 들어왔다. 필로티는 기둥으로 받쳐진 건물의 지상부에 생기는 외부공간을 말한다. 흔히 '빌라'라고 불리는 한국의 저층-밀집주거 건축유형에서 주차장으로 쓰이는 공간 또한 필로티다. 하지만 MASP의 필로티는 여느 건물과는 확연히 달랐다. 중간에 기둥이 단 한 개도 없기 때문이다.

파울리스타 대로를 향하는 필로티가 마치 '도시의 처마' 처럼 느껴진다.

물론 요즘은 이런 필로티도 곧잘 만든다, OMA 선전 증권거래소 (사진 ⓒIwan Baan)

오로지 양 단부의 기둥으로만 받쳐진 필로티의 스팬(span, 기둥과 기둥 사이의 거리)은 무려 74m다. 완공 당시 세계 최고길이였음은 물론이고 2020년인 지금 다시 보아도 충분히 인상적인 공간이다. 현대 건축에서 자주 볼 수 있는 메가 트러스(Mega truss, 거대 강구조물)가 아닌 순수 철근콘크리트구조라는 점에서 여전히 가치있어 보인다. 다만 지어진지 어느덧 반 세기가 넘은 건물이다 보니 중앙부에 장기처짐이 관측된다. 멀쩡히 영업을 하고 있으니 구조나 안전 측면에서 문제는 없겠지만 눈썰미가 좋은 사람이라면 알아챌 수 있을 정도다. 나이가 들면 배가 나오듯, 자연스러운 세월의 흔적 같은 게 아닐까.

미술관으로 올라가는 계단에서 찍은 필로티 전경, 지금은 텅 비어있지만...

... 매주 일요일이면 이렇게 그득그득 사람들이 들어찬다고 한다. (사진출처: Trip Advisor)

내가 찾아간 평일 오전의 필로티는 다소 한산한 모습이었다. 해가 좋은 쪽으로 사람들이 삼삼오오 모여 휴식을 취하는 젊은이들과, 무장한 채 순찰을 도는 경찰들, 그리고 비둘기 한 무리가 전부였다. 하지만 이 공간의 진면목은 매주 일요일마다 확인할 수 있다고 한다. 파울리스타 대로는 매주 일요일이면 교통을 통제하고 그 자체로 거대한 보행자 거리이자 시장, 거리공연의 메카로 변신한다. 마치 우리나라 대학로가 옛날에 그랬듯 말이다. 그때마다 대로 한 중간에 위치한 MASP의 거대한 필로티 공간에는 거대한 벼룩시장이 열린다고 한다. 비록 출장기간 중 일요일이 없어 그 모습을 눈으로 보지는 못했지만 광장을 가득 메울 활기와 생동감이 눈 앞에 그려지는 것만 같았다.

완공 직후인 1968년에 촬영된 사진, 반대쪽에서 보면 지하층의 규모를 짐작할 수 있다. (사진 출처: Moreira Salles Institute)

필로티 아래 마련된 외부 창구에서 입장권을 샀다. 물론 카드결제 가능!

미술관으로 올라가는 계단은 마치 UFO로 진입하는 입구 같아 보였다.

 필로티 한편에 마련된 매표소에서 40 헤알짜리 표를 사서 계단으로 올라갔다. 마치 만화영화에서 UFO의 바닥 한쪽이 열리고 쑤욱 내려오는 계단을 타고 올라가듯, 입장하는 방법 또한 제법 멋지다. 상부 건물은 총 두 개 층으로 되어있어 그중 상부층이 상설전시 영역, 하부층이 사무지원 영역이다. 카페, 기념품점, 기획전시실, 화장실 등 편의시설은 모두 필로티 하부 지하에 마련되어있다. 사실상 상설전시가 열리는 최상부 한 개층이 이 미술관의 알파이자 오메가다. 당장 그곳부터 둘러보기로 했다.

2층에 들어서자마자 눈 앞에 나타난 압도적인 풍경.

 계단을 따라 올라오자마자 눈 앞에 펼쳐진 공간감이 나를 압도했다. 필로티 스팬과 동일한 장변 74m의 긴 직사각 공간 전체가 벽이나 기둥 따위의 구획이 없는 '통 공간'이다. 요즘이야 이 정도 무주(無柱) 공간을 만드는 건 일도 아니지만 다시금 이 건물이 1947년 착공, 1968년 완공이라는 사실을 상기시켰다. 공간뿐 아니라 이를 가득 채우고 있는 작품들의 수준 또한 대단했다. 고흐, 피카소, 모딜리아니, 모네, 마네, 벨라스케스... 시대별 거장들의 작품이 수두룩 함은 물론이고 대중적으로 알려진 작품도 다수여서 미술에 문외한인 사람도 알아볼 법 한 작품이 여럿 있었다. 

익숙한 그림들이 제법 많았다. 이건 고흐...

...모네

...피카소

...모딜리아니 등등, 물론 모두 진품이다.

공간만큼이나 전시 방식 또한 흥미롭다. 육중한 콘크리트 덩어리마다 사람 키보다 높은 유리판들이 엽서처럼 제각각 꽂혀있다. 그림들은 이 유리판을 전시장 벽 삼아 하나씩 걸려있는데, 멀리서 보면 마치 큰 공간에 그림만 동동 떠있는 것 같은 착시를 불러일으킨다. 앞서 필로티에서 보았던 것과 같이 이 건물에는 중간 기둥이 하나도 없는 바람에 전시실 전체는 마치 거대한 빈 공간에 그림들만 부유하고 있는 '그림의 숲' 같았고 관람객은 그 숲의 나무들 사이를 자유롭게 산책하듯이 걸어 다니고 있었다. 그림을 사랑하는 사람들에겐 그야말로 꿈만 같은 공간이 아닐는지. 당연히 전시실에는 정해진 관람동선도, 길을 막는 벽이나 기둥도 없어 완벽한 '자유'를 느낄 수 있다. 이 얼마나 멋진 경험인가!

MASP에서만큼은 아무런 방해 없이 작품과 오롯히 마주할 수 있다.

전시장을 뒤쪽에서 바라보면 전혀 다른 장면이 펼쳐진다.

작품 정보는 물론이고 제법 읽어볼만한 설명글들이 액자 뒷편에 빼곡히 적혀있다.

 유일한 규칙이 있다면 모든 그림의 앞뒤가 모두 한 방향으로 정돈되어있다는 점 정도. 게다가 그림이 걸린 면의 유리판에는 그 어떤 설명이나 글씨도 없다. 대신 모든 설명은 액자 뒷면에 영어와 포르투갈어로 자세히 쓰여있다. 액자가 걸린 벽이 투명해서 가능한 방법이다. 이렇다 보니 순수하게 그림에만 집중하고 싶은 관람객은 앞 면만 보면서 걸어 다니면 된다. 작품마다 상세한 설명이 읽고 싶은 사람은 살포시 뒤로 돌아가 서서 읽으면 되니 서로 동선도 겹치지 않고 각자의 호흡대로 작품을 즐길 수 있다. 그야말로 가장 이상적인 관람방식이 아닐 수 없다.

그야말로 '그림의 숲'을 부유하는 한 명의 요정이 되어 행복하고 만족스러운 시간을 보냈다.

평일 낮이라 그런지 선생님과 함께 온 학생 단체 관람객이 제법 많았다.

유치원생은 아니겠지...?

미술관 전체를 무대삼아 말 그대로 온 몸으로 부딪히며 작품과 호흡해보는 아이들의 모습.

 비슷한 전시 방식을 예전에 SANAA 루브르 박물관 별관동 계획안에선가 본 기억이 있다. 당시에는 도면만 보고 공간을 상상하며 참 괜찮겠다 싶었는데, 막상 이렇게 실제 실현된 공간에서 체험해보니 상상했던 것 이상으로 마음에 쏙 들었다. 나의 무지(無知)에서 비롯된 막연한 선입견 때문이었는지 몰라도, 상파울루에서 보고, 만나고, 체험한 것들 중에는 정신이 번쩍 들만큼 새롭고 좋은 것들이 유난히 많았다. 그날따라 선생님과 함께 온 아이들이 참 많았는데 어찌나 편안하고 자유로워 보였는지 모른다. 어쩜 저렇게 집 앞 놀이터 가듯이 찾아올 수 있는걸까 잠시 생각에 잠겼다가 이내 답을 알게 되었다.

전시공간 바로 왼쪽의 블라인드 너머 불과 몇 미터 옆으로 상파울루의 상징, 파울리스타 대로가 있다.

창 밖으로 손 내밀면 닿을 듯한 거리의 행인들, MASP가 나에게 가르쳐준 중요한 교훈이 하나 있다.

 미술관을 떠나기 전 마지막으로 찍은 사진이다. 얇디얇은 유리창 한 장을 사이에 두고서, 한쪽으로는 브라질 최대의 도시 상파울루의 중심가 파울리스타 대로를 분주히 달리는 차와 사람이 보이고, 반대쪽으로는 역사와 시대를 대표하는 회화들의 '숲'이 펼쳐져 있다. 무려 반세기도 전에 지어진 건물임에도 당시 브라질 사람들의 일상과 예술의 거리는 고작 1cm 남짓한 유리창 한 장에 불과했던 것이다. 우리나라 국립현대미술관이 북촌의 골목길로 옮겨온 게 불과 7년 전 임을 생각해볼 때 이 한 장의 사진은 나로 하여금 참 많은 생각을 하게 만든다. 

 우연하게 마주쳤던 한 장의 사진 속 MASP는 분명 독특한 구조에서 비롯된 외관때문에 나의 호기심을 자극했고 결국 이렇게 직접 찾아오게 까지 만들었다. 그럼에도 이곳을 떠나며 끝내 남은 인상 한 가지는 거대한 스팬도, 필로티도, 무주공간도 아닌 바로 유리창 너머로 느껴지는 '예술과 일상의 거리'와 아주 조금의 부러움 같은 것일 뿐이었다. (계속)



공유하기 링크
댓글